불공정행위 - 증여, 경매에는 적용 X / 단독행위에는 적용 O
② 불법원인이 수익자에게만 있는 경우에는 피해를 본 급여자는 수익자에게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있다.
① 사회통년 = 객관적 가치에 의해 판단
② 법률행위 시 (계약체결 시)를 표준으로 판단 , 이행기 기준 (X)
이를 알고서 이용하려는 의사 = 폭리행위의 악의
① 경제적 궁박 + 정신적 궁박
③ 일반에 대한 경험 부족(O) 특정영역에 대한 경험부족(X)
⑤ 경무대(경솔, 무경험은 대리인 기준) , 궁박은 본인을 기준으로 판단
① 현저한 불균형이 있다고 하여 궁박, 경솔 또는 무경험이 추정되지는 않는다
② 피해자는 급부한 것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.
폭리자는 불법원인급여로 급부의 반환을 피해자에게 청구할 수 없다
경매에 대해서는 불공정한 법률행위를 적용할 수 없다
증여계약, 기부행위, 경매 - 불공정한 법률행위 적용 X
채권포기행위 - 불공정한 법률행위 해당 O
출처
'공인중개사 민법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인중개사 민법 요약 8강 비진의 의사표시 (0) | 2021.04.12 |
---|---|
공인중개사 민법 요약 7강 법률행위의 해석 (0) | 2021.04.08 |
공인중개사 민법 요약 5장 부동산 이중매매 ★★★ (0) | 2021.04.08 |
공인중개사 민법 요약 4장 103조 반사회질서 법률행위 (0) | 2021.04.06 |
공인중개사 민법 요약 3강 법률행위의 요건 (0) | 2021.04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