포인트 !
1. 출제 빈도가 낮으니 너무 긴장하지 말자
2. 원시취득 ↔ 승계취득, 이전적승계 - 설정적승계, 특정승계 - 포괄승계
3. 의사표시와 의사의 통지는 완전히 다른 것
4. 준법률행위는 법률행위가 아니라 법률규정
목차
제 1편 민법 총칙
법률행위, 의사표시 단어 뜻 정말 중요 !
<1> 권리 변동의 의의
1. 권리변동의 의의
(1) 권리 변동 : 권리의 발생(취득), 변경, 소멸
(변동은 3가지 의미 다 포함하고 있는 것)
2. 권리 변동의 형태
원시 취득 = 신축 , 취득시효
건물을 짓는 사람이 건물 권리 갖는다, 원시 취득
승계 취득 = 전 소유자한테서 건너 받는 것
이전적 승계 = 소유자가 가지고 있던 모든 권리 다 주는 것
특정승계 = 원하는 것만 특정해서 받는 것 / 매매,
포괄승계 = 빚까지 다 받는 것 / 상속
설정적 승계 = 일부 권리만 주는 것
ex) 전세권, 저당권 설정
★- 질적 변경 : 권리의 성질이 변하는 것
목적물 인도청구권 → 손해배상청구권
ex) A의 집을 사기 위해 B가 잔금을 다 치뤘는데 A의 집 주기전에 다 타버렸을 때
- 양적 변경 :
ex) A가 사용 및 수익권, 처분권 다 가지고 있던 집을 B에게 전세권 설정 했을 때
절대적 소멸 : 물리적인 이유로 부동산이 사라짐
상대적 소멸 : 소유권을 넘겨주는 경우
- 종류 : 신축, 취득시효, 수용
- 설정적 승계 : 지상권, 지역권, 전세권, 저당권 등의 설정
의사표시가 2개가 만나면 계약 ( 계약은 법률행위 안에 포함이 되어 있다 )
계약은 법률행위다
의사표시 = 바램, 원하는 것 을 담고 있어야 한다
★ 시험 출제 POINT !!
- 준법률행위는 법률규정의 재료가 된다
- 준법률행위는 의사의통지와 관념의통지와 관련되어 있다
(의사의 통지는 최고와 거절을 포함한다) - 최고 : 독촉
(의사의통지는 준법률행위와 관련 있다, 의사의 통지는 법률행위와 관련 없다)
(1) 법률요건을 원인으로 법률효과라는 결과가 발생한다. 즉, 법률요건과 법률효과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이다.
(2) 권리변동을 법률효과가 발생했다 라고 하며, 이런 법률효과가 발생하게 된 원인이 법률요건이다.
(3) 법률효과가 발생하려면 법률요건이 있어야 하고 법률요건은 ㅇㅇㅇ로 구성되어 있다.
① 예를 들어 매매행위의 법률요건은 청약이라는 의사표시와 승낙이라는 의사표시로 구성되어 있다.
② 이 때 의사표시인 청약과 승낙이 법률 사실이다.
법률사실 → 법률요건 → 법률효과
법률요건 구성 법률효과의 원인 법률요건의 결과
의사표시(청약,승낙) 법률행위 권리변동
① 법률사실
② 법률요건
③ 법률효과
2. 법률사실의 분류
(1) 법률사실
(2) 적법행위
① 의사표시 : 청약, 승낙, 해제와 같이 어떤 법률효과를 발생하고자 하는 의사를 외부에 표시하는 행위
② 준법률행위 : 법률행위 X
출처 :
경제 TV 너무경 : 너무 쉬운 경제 유튜브
윤성종 교수님
'공인중개사 민법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인중개사 민법 요약 6강 불공정한 법률행위 (0) | 2021.04.08 |
---|---|
공인중개사 민법 요약 5장 부동산 이중매매 ★★★ (0) | 2021.04.08 |
공인중개사 민법 요약 4장 103조 반사회질서 법률행위 (0) | 2021.04.06 |
공인중개사 민법 요약 3강 법률행위의 요건 (0) | 2021.04.06 |
공인중개사 민법 강의 2강 법률행위 의의 (0) | 2021.04.05 |